banner

소식

Sep 22, 2023

SGLT

BMC Medicine 21권, 기사 번호: 71(2023) 이 기사 인용

2551 액세스

1 인용

18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억제제(SGLT2i) 치료 여부에 관계없이 제2형 당뇨병(T2DM) 및 급성 심근경색(AMI) 환자의 스텐트 내 재협착증(ISR) 관련 사건의 발생률을 평가한 연구는 없습니다.

우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고 있는 T2DM 및 AMI 환자 377명을 모집했습니다. 이 중 177명의 T2DM이 PCI 이전에 SGLT2 억제제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주요 결과는 ISR과 관련된 심장사, 재경색, 심부전으로 정의된 주요 심혈관 사건(MACE)이었습니다. ISR이 없는 환자의 경우 1년 추적 관찰 시 관상동맥 CT 혈관조영술을 통해 최소 내강 면적과 최소 내강 직경을 평가했습니다.

혈당 조절은 SGLT2i 치료 환자와 SGLT2i 사용자에서는 유사하지 않았습니다. ISR 관련 MACE의 발생률은 SGLT2i 치료 환자에 비해 SGLT2i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서 더 높았으며, 이는 혈당 상태와 무관한 효과(HR = 0.418, 95% CI = 0.241–0.725, P = 0.002)이며 하위 그룹에서도 관찰되었습니다. HbA1c < 7%인 환자의 경우(HR = 0.393, 95% CI = 0.157–0.984, P = 0.027). 사건이 없는 환자의 경우, 1년 추적 조사에서 SGLT2i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SGLT2i를 치료받은 환자의 스텐트 개통성이 더 컸습니다.

T2DM의 SGLT2i 치료는 혈당 조절과 관계없이 ISR 관련 사건의 발생률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동료 검토 보고서

경피적 중재술(PCI)이나 관상동맥우회술과 같은 교정적 혈관 중재술 이후 동맥 내강이 다시 좁아지는 현상으로 정의되는 재협착증은 임상 실습에서 점점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1].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스텐트 설치 건수가 연간 300만 건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혈관 재개통 절차가 훨씬 더 보편화되었습니다[2]. 제2형 당뇨병(T2DM) 환자는 내강 직경의 후기 손실률이 가속화되고 스텐트 내 재협착증(ISR) 발생률이 증가하며[3, 4], T2DM은 재발성 재협착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입니다[5, 6] . 여러 대규모 임상 시험에서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 2 억제제(SGLT2i)가 T2DM 및 비DM 환자 모두에서 심혈관 결과를 개선하고[7] 죽상동맥경화증 진행을 개선한다는 것이 설득력 있게 입증되었지만[8] SGLT2i가 다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데이터는 없습니다. 혈관재개통 치료를 받은 AMI 환자의 스텐트 내 재협착증과 혈당 상태와의 가능한 관계. 따라서 우리는 급성 심근경색(AMI)이 있는 T2DM 환자에서 SGLT2i 치료가 혈당 조절과 관계없이 더 낮은 비율의 ISR 관련 사건과 연관되어 있는지 평가했습니다.

이는 AMI가 있는 T2DM 환자(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 및 NSTEMI 환자)에서 SGLT2i 치료와 ISR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관찰적, 전향적 연구였습니다. 환자들은 관상동맥재관류술을 위한 ACC/AHA/SCAI 지침에 따라 성공적인 스텐트 이식을 받았습니다[2]. 당뇨병은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기준에 따라 분류되었습니다[9]. 또한 환자들은 연구 시작 전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치료 시작 및 종료 날짜, 투여 경로, 사용 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설문 조사에 응답했습니다. 연구 중 의약품 목록의 정보와 이 특정 설문지는 환자를 "SGLT2i 사용자 없음"과 "현재 SGLT2i 사용자"로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GLT2i 사용자는 AMI 이전이나 추적 조사 중에 SGLT2i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였습니다. 현재 SGLT2i 사용자는 AMI 발생 전 최소 6개월 동안 중단 없이 SGLT2i 치료를 진행하고 있으며, 추적 기간 동안 중단 없이 SGLT2i 치료를 지속한 환자였다. 모든 환자는 대면 인터뷰, 전화 통화 또는 의료 차트 검토를 통해 12개월 간의 임상 추적 관찰을 완료했습니다. 심부전, 신장 기능 장애(eGFR < 60ml/min, CKD-EPI 방정식을 통해 추정), 관상동맥 우회 적응증, 관상동맥 병변 부재 및 악성 종양이 있는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조사는 인간 조직 또는 환자 사용에 대한 헬싱키 선언에 설명된 원칙을 준수합니다. 기관 검토 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는 프로토콜을 승인했습니다.

250 s. DAPT (a combination of aspirin 100 mg/day with clopidogrel 75 mg/day or ticagrelor 90 mg twice daily or prasugrel 5–10 mg/day) was recommended for > 12 months for patients who underwent PCI. Triple antiplatelet therapy (TAPT: cilostazol 100 mg twice daily in addition to DAPT) was left to the discretion of the individual operators. To stabilize glycemic control in the emergency setting, all patients underwent continuous insulin infusion: the infusion lasted until a stable glycemic goal (140–180 mg/dl) for at least 24 h. After that glycemic goal was maintained for 24 h, the infusion was stopped, and subcutaneous insulin was initiated.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all patients were managed and followed for 12 months after PCI, as outpatients, to maintain an HbA1c level at < 7%.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and PCI were performed using standard guidelines [2]. A successful PCI was defined as residual stenosis of < 30% and more than grade 3 flow in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flow for the infarct-related artery (IRA) after the procedure./p>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coronary CTA performance and analysis, blinded to the clinical findings. For any disagreement in data analysis between the 2 readers, a consensus agreement was achieved. The visualizing coronary segments were classified as interpretable when of adequate, good, or excellent image quality (scores 2 to 4). ISR > 50% were considered significant when assessing anatomy by CCTA.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region of interest were manually defined using proximal and distal markers as the coronary vessel region where the lumen diameter was reduced by ≥ 30% compared with the normal vessel. Planimetry of the inner lumen and outer vessel areas was performed following a stepwise approach. In summary, a centerline originating from the ostium was first automatically extracted and successively reacquired also manually to avoid potential misregistration errors; then, straightened and stretched multiplanar reformatted images were generated, and the lumen and vessel borders were detected longitudinally on 24 different vessel views by the software; based on these longitudinal contours, cross-sectional images at 0.25 mm intervals were calculated to create transversal lumen and vessel wall contours, which were examined and, if necessary, adjusted by a single experienced observer. Based on the detected contours proximal and distal from the lesion region, a reference area function was derived modeling the tapering of a healthy vessel. From these data, the following cross-sectional CTCA-derived parameters were automatically provided by operators: minimum lumen area (MLA), and % area stenosis (%AS) at the level of the MLA defined by [1-MLA/corresponding reference lumen area) × 100]. Minimum lumen diameter (MLD), less accurate parameter, was not considered./p>

공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