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

소식

Sep 13, 2023

경피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의 예후적 의미

심혈관 당뇨병학 22권, 기사 번호: 63(2023) 이 기사 인용

705 액세스

측정항목 세부정보

이제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은 입원 환자의 불리한 결과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환자에서 스트레스성 고혈당증과 사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했습니다.

이 코호트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심혈관 센터 베이징 우호 병원 데이터베이스 은행(CBDBANK)에서 PCI를 받은 5,190명의 ACS 환자로 구성되었습니다.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은 입원 공복 혈장 포도당으로 계산된 포도당/당화 알부민(GA) 비율로 정의되었습니다. GA로 나뉜다. 환자들은 포도당/GA 비율 사분위수(Q1-Q4)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뉘었습니다. Cox 비례 위험 회귀 분석과 제한된 입방 스플라인을 사용하여 포도당/GA 비율과 모든 원인 및 심혈관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했습니다.

중앙값 4.0년의 추적 기간 동안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13명(6.0%), 심혈관 관련 사망 수는 177명(3.4%)이었습니다. 잠재적 혼란 요인을 조정한 후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최저(HR, 1.43; 95% CI, 1.01–2.03) 및 최고(HR, 1.51; 95% CI, 1.03–2.21) 포도당/GA 비율 사분위수에서 증가했습니다. 2분기와 비교. 제한된 입방 스플라인은 포도당/GA 비율과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이 전체 조정 후 U자형임을 보여주었습니다(P 비선형 = 0.008). 심혈관 사망률에 대해서도 비슷한 결과가 관찰되었습니다. 당뇨병 상태에 따른 하위군 분석에서 U자형 관계는 당뇨병 환자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CI를 받은 ACS 환자에서 낮은 및 높은 포도당/GA 비율 값은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전체 원인 및 심혈관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은 급성 심근경색(AMI), 울혈성 심부전, 뇌혈관 사고 등 급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혈당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1,2,3]. 이전 연구에서는 급성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환자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5,6,7]. 그러나 일부 다른 연구에서는 낮은 혈당 수치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지적했습니다[8, 9]. 이전에 알려진 당뇨병 환자는 임상 결과가 더 나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10,11,12],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이 당뇨병 상태가 다른 ACS 환자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13,14].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단식 또는 무작위 포도당 수준을 기반으로 문헌에서 사용되었으며[7, 15], 이는 만성 혈당 수준을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최근에는 진정한 급성 고혈당 상태를 반영하는 새로운 지표가 제안되었습니다. 이러한 마커의 대부분은 당화 헤모글로빈(HbA1c)의 평균 포도당 수준을 추정합니다[4, 6, 8, 16].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급성 사건 발생 전 배경 혈당 수준을 고려하여 스트레스성 고혈당증을 평가하기 위해 공복 혈장 포도당(FPG) 대 당화알부민(GA)의 비율을 사용했습니다[17]. GA는 약 2~3주 동안의 평균 혈장 포도당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HbA1c보다 짧으며 혈당 변화가 빠른 조건에서 혈당 조절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18]. 게다가 GA는 적혈구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신장 질환(신장 빈혈)이나 출혈과 같은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19]. 따라서 GA는 HbA1c에 비해 실제 혈당 조절 상태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은 ACS 환자의 혈당/GA 비율로 정의된 스트레스성 고혈당증과 사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90 mmHg, clinical pulmonary congestion and impaired end-organ perfusion [altered mental status, cold/clammy skin and extremities, urine output < 30 ml/h, or lactate > 2.0 mmol/L], or class IV according to the Killip classification), or heart failur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 30%). Finally, 519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ig. 1).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Ethics Committee of Beijing Friendship Hospital, Capital Medical University, and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claration of Helsinki./p> 0.442) for further analysis./p> 5.18 mmol/L (200 mg/dL), LDL-C > 3.37 mmol/L (130 mg/dL), triglyceride > 1.72 mmol/L (150 mg/dL), HDL-C < 1.0 mmol/L (40 mg/dL), and/or previous use of lipid-lowering agents. The eGFR was calculated using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formula: eGFR (mL/min/1.73 m2) = 175 × (Scr)−1.154 × (Age)−0.203 × (0.742 if female) × (1.212 if African American) [26]. Echocardiograms were performed by cardiologists or certified sonographers, and the LVEF was assessed using the Simpsons method. Medications were obtained directly from the medical records, including aspirin, clopidogrel or ticagrelor, β-blocker, ACEI or ARB, and statins./p> 0.442 (Q4), the adjusted HR for all-cause mortality was 1.51 (95% CI, 1.03–2.21). Similarly, the incidence rate for cardiovascular mortalit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he lowest and highest glucose/GA ratio quartile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in model 3, only the highest glucose/GA ratio level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adjusted HR, 1.69; 95% CI, 1.02–2.79) (Table 2 and Fig. 2). Covariates-adjusted survival curves of time until all-cause and cardiovascular death are shown in Fig. 3. Patients in the lowest and highest glucose/GA ratio group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during follow-up./p> 0.05)./p> 0.442 (Q4) compared to Q2 (Additional file 1: Figure S6). Similarly, the E-values for cardiovascular mortality were 2.39 and 2.77 accordingly (Additional file 1: Figure S7)./p>

공유하다